반응형

전체 글 110

맥북 + 태블릿 유니버설(유니버셜) 컨트롤 사용법? 과연 어떻게 사용하면 좋을까?

소개 안녕하세요. 김과자 입니다. 이번글은 맥북 + 태블릿 조합의 유니버설 컨트롤에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 기능은 지난 글에서 소개했던 사이드카 기능과 굉장히 헷갈리는데요. 이번을 통해서 확실히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Mac의 키보드, 마우스 또는 트랙패드를 사용하여 근처에 있는 최대 2대의 다른 Mac 또는 iPad 기기를 제어하고 이들 기기를 원활하게 오가며 작업할 수 있습니다.” 유니버설 컨트롤은 말그대로 입니다. 맥북의 입력기기 (키보드 마우스)를 통해서 태블릿을 사용할수 있습니다. 화면 확장 공유가 아닌 컨트롤의 공유 입니다. 사전준비 macOS Monterey 12.4 및 이후 버전 MacBook 2016년 및 이후 모델 MacBook Pro 2016년 및 이후 모델 MacBook Air 2..

맥북 + 태블릿 사이드카 사용법? 과연 어떻게 사용하면 좋을까?

소개 안녕하세요. 김과자 입니다. 이번글은 맥북과 iPad 조합의 기능인 사이드카에 대해서 이야기 합니다. 사이드카는 Ipad를 맥북의 보조 디스플레이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인데요. 잘 사용하면 외부에서도 두개의 화면을 보며 작업할수 있습니다. “Sidecar 기능을 이용해 iPad를 디스플레이처럼 사용하여 Mac 데스크탑을 확장하거나 미러링할 수 있습니다.” 사전준비 해당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맥북, 태블릿의 사전 준비가 필요합니다. 사양과 OS버전을 맞추어야 합니다. 또한 두 기기 모두 동일 Apple id로 로그인 되어야 합니다. https://support.apple.com/ko-kr/HT201260 Mac에서 사용 중인 macOS 확인하기 이 Mac에 관하여를 사용하여 Mac에 설치된 운영 체제..

넷플릭스 계정 공유를 제한한다? 수수료는 얼마일까?

소개 안녕하세요. 김과자입니다. 이번글은 넷플릭스 계정공유 정책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공식적으로는 Netflix(넷플릭스)에서는 계정 공유 자체를 금지하고 있는것이 사실입니다. 넷플릭스 측에서 이걸 통해 벌금을 청구하거나 하지는 않겠지만 공유된 계정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경우는 법적인 조치도 취할수 있다고 하는 데요. 한마디로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 입니다… 순 자기네 맘대로 인 것입니다. 본론 아직 우리나라에는 적용되지 않았지만 유럽쪽에서는 벌써 수수료 정책이 진행중라고 합니다. 뉴질랜드, 캐나다, 포르투칼…스페인 등등 유저들이 가만히 있을것 같지 않은데요. 아마도 대거 이탈로 이어질것 같습니다. 기존의 넷플릭스를 사용할때 우리는 한 아이디를 공유해서 N빵하여 사용하곤 했습니다만… 이제..

IOS NavigationContorller를 활용한 화면 이동 방법

안녕하세요. 김과자 입니다. 오늘은 NavigationController를 활용해서 화면을 이동해보겠습니다. 정말 간단합니다. 역시나 ^^버튼을 하나 만들구요. 스토리 보드상에 NavigationController 를 만들어 줍니다. 자 그리고 나서 연결해줍니다. 어떻게요? 버튼을 선택하고 오른쪽 버튼으로 쭈욱 도작화면(NavigationController) 까지 내려놓겠습니다. 지난편에서 보던 화면이죠? segue를 설정해 줍니다. 이동 화면을 구성하는 방법은 5가지가 있네요. 자 그리고 여기가 중요합니다. NavigationController는 빈깡통? 이구요. 여기에 화면을 붙혀 줄께요. 커스텀 클래스 지정 해주시구요. class NaviViewController1: UIViewController ..

IOS 스토리보드로 ViewController를 이용한 화면 이동 하기

안녕하세요. 김과자 입니다. 전편에 이어서 오늘은 스토리보드 id 를 사용하여 화면을 호출해 보겠습니다. 2021.11.09 - [HELLO_WORLD/애플_IOS] - IOS 다양한 화면 이동(컨트롤)방법 - Segue와 ViewController 사용 IOS 다양한 화면 이동(컨트롤)방법 - Segue와 ViewController 사용 안녕하세요. 김과자 입니다. 오늘은 IOS 개발중 조금은 난해한 화면 컨트롤 부분입니다. 우리가 만들게 될 어떠한 앱이든 간에 화면이동은 무조건 들어가게 되겠지요? 안타깝게도...? IOS에서 화 www.blueswt.com 우선 버튼과 함수를 연결하겠습니다. 버튼에 대고 소스코드로 오른쪽버튼으로 쭈우욱~ 드래그 하고 만들면 됩니다. 자 이렇게 잘 연결되었죠. 내부 코..

IOS Segue와 ViewController를 사용한 화면 전환

안녕하세요. 김과자 입니다. 오늘은 IOS 개발중 조금은 난해한 화면 컨트롤 부분입니다. 우리가 만들게 될 어떠한 앱이든 간에 화면이동은 무조건 들어가게 되겠지요? 안타깝게도...? IOS에서 화면 이동을 구현하는 방법은 굉장히 많습니다.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살펴볼 화면 이동 방법들 입니다. 굉장히 많죠. 하루에 다 작성할순 없습니다. (시간이...) 하나씩 시리즈로 올려보겠습니다. 1. segue를 통한 화면이동 우선 버튼을 하나 생성합니다. 그리고storyboard 상에 ViewController를 생성하겠습니다. UseSegueViewController 라고 클래스도 만들어 주겠습니다. 당연히 커스텀 클래스로 연결해주시구요. 다음은 쉽습니다. 버튼에 대고 오른쪽 버튼을 누른채 해당 SegueVi..

IOS 권한체크와 로직처리

안녕하세요. 김과자 입니다. IOS나 안드로이드에서 위치정보나, 파일쓰기... 등 해당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권한체크는 필수 입니다. 오늘은 IOS의 권한체크 부분을 알아보겠습니다. 위와 같이 프로젝트의 Plist.info 내부에 작업이 필요합니다. 해당 메세지는 런타임시 권한 체크 할때 출력되는 메세지 입니다. 유저에게 권한을 요청하고 허용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분기 처리 하면 됩니다. 단 특이 사항은 단 한번만 묻기 때문에 유저가 거부로 설정할시에 설정 화면에서 바꾸도록 유도하도록 UI/UX를 구성해야 합니다. IOS 앱에서 기능 사용중 설정으로 넘어가는 경우 많이들 보셨을 겁니다. 우선 소스 살펴 보겠습니다. //카메라 권한을 묻는 예시 let dialog = UIAlertControll..

안드로이드 앱 아키텍처 가이드 - ViewModel 편

개요 안드로이드 클린아키텍처 가이드에 따라서 이번편은 ViewModel 을 알아보겠습니다. ViewModel은 MVVM 패턴의 중간다리 역할 입니다. 분류를 하자면 presenter 쪽에 넣을수 있겠네요. Activity나 Fragment에서 들어온 요청을 받아서 넘기는 역할을 하게 되죠. 기존의 Activity 의 매시브한 클래스가 MVVM 패턴을 통해 한것 다이어트 되는 형태가 되는것이죠. 제가 느낀 핵심은 각각의 경계를 지키고 자기 할일만 하면됩니다. 시작 ViewModel은 클린아키텍트 3레이어에서 presentation 영역에 속합니다. ViewModel 사용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ViewModel 은 수명 주기를 고려하여 UI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도록 설계되었다는 것입니다. ViewM..

안드로이드 앱 아키텍처 가이드를 따르라!

소개 안녕하세요. 김과자 입니다. 기존의 앱 개발계는 그야말로... '개판' 입니다. 소스는 이사람 저사람을 거치고 산넘고 물건너 뒤죽박죽 난리 블루스입니다. 그런곳이 어디냐구요 ?... 대부분이 이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안드로이드는 특히나 오픈소스가 많고, 프레임워크 레벨에서의 파편화도 심각했습니다. 그에 따른 개발기준도 해당 소스를 만진 개발자 수만큼 많았습니다. 정말이지 노답일수밖에 없죠. 그리하여... 구글은 개발 단에서 지킬 최소한의 기준을 제시합니다. 바로 앱 아키텍처 가이드 입니다. 이 기준을 지키면 그들이 말하는 클린 아키텍처에 한발짝 다가갈수 있습니다.(아마도) 그렇다면 과연 클린한 아키텍처란 무엇일까요? 매우 길어질수 있어서 다른글을 통해 한번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한마디로 요약..

안드로이드에서 사용하는 코루틴 (코틀린)

왜 이런글을? 안드로이드 (코틀린) 에도 코루틴을 통한 비동기 처리를 사용할수 있기 때문이죠. 안드진영에서는 대대손손 물려받은? 자바 계열의 스레드 개념을 활용하여 비동기 처리를 하곤 했습니다. 당연히 그렇게 사용했습니다. 그런데 이 스레드를 컨트롤 한다는건 매우 위험하고 어려운 복잡한 그러한 일이었기에...(대표적으로 메모리 문제 그리고 메모리 문제) 코틀린으로 넘어오면서 코루틴 이라고 하는 개념을 추가하여 비동기 방식의 로직처리를 안정적으로 할수 있게 되었습니다. (과연그럴까요?) = 정리 + 요약 하여 해당 내용을 공유 합니다. 코루틴? (Coroutine) 이름이 비슷하다고 해서 코루틴은 코틀린에서 새로 등장한 지식이 아닙니다. 아주 오래 전부터 기존에 있던 이론입니다. 코루틴(coroutine)..